찰스핸디의 '코끼리와 벼룩' 저자는 영국의 글로벌 정유회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서, 궁의 관리까지 하다가 늦은 나이에 벼룩이 된다. 아마 60이 다되어서야? 그리고 그 프리랜서로의 삶을 벼룩으로 묘사했다.
우리나라도 예능계를 제외하면 벼룩이 적다. 대부분의 벼룩은 디자인, 음악, 방송, 체육 등 예체능 분야에서 종사한다. 금융업계의 벼룩은 투자권유대행인 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. 소속은 되어있지만, 본인의 고객을 관리하고 회사와 수수료 수익을 나눈다.
이거 말고 또 벼룩이 되려면?
웹 디자인, IT 인력들은 프로젝트만 담당하는 벼룩이 가능할 것 같다. 나같은 미들오피스는 벼룩이 되기 참 힘들다. 블로그라도 운영하면서 회사 홍보를 해주는 벼룩은 괜찮을 것 같기도 하다. 또는 고객을 소개시켜주고 소개비를 받는 것도 방법이다. 증권 방송을 하는것도 방법이다. 요즘은 아프리카 TV도 있으니깐.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해 보자.
벼룩은 두근두근, 그리고 불안감도 있고, 편안함도 있다.
'W O R K > 취업에 도움될까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되다/돼다 맞춤법 차이점은? (0) | 2014.04.19 |
---|---|
전업투자자 몇%나 성공할까? (2) | 2014.04.16 |
창업 준비 서류 및 계획! (0) | 2014.04.07 |
죽을때 후회하는 25가지~사랑을 더 할걸♡ (0) | 2014.03.27 |
대기업 면접준비(임하는 자세는?) (2) | 2014.03.19 |